프롬프트 세 번째 걸음 — 3단계 : 역할(페르소나) 입히기

홈 > AI와 자동차 > AI 개발 및 정보
AI 개발 및 정보

프롬프트 세 번째 걸음 — 3단계 : 역할(페르소나) 입히기

1 메드데브 0 8 0 0

프롬프트 세 번째 걸음 — 3단계 : 역할(페르소나) 입히기

(챗GPT에게 ‘전문가 모드’를 입히는 비밀 기술)

핵심 키워드 (SEO): 챗GPT 역할 지정, 프롬프트 페르소나, 챗GPT 전문가 모드, 초보자 챗GPT 활용법, 시니어 챗GPT 강의


왜 역할을 입히면 좋은가요?

같은 질문이라도 누가 대답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완전히 달라지죠.

예를 들어,

  • 의사 선생님이 말하는 다이어트 방법

  • 요리사가 말하는 다이어트 방법

  • 둘 다 다이어트 이야기지만 관점과 초점이 완전히 다릅니다.

챗GPT도 마찬가지예요.

“너는 지금부터 ~전문가처럼 대답해줘”라고 말하면,

말투·사고방식·설명 구조가 싹 달라져요

이걸 ‘페르소나(persona)’ 지정이라고 부릅니다.

이 단계에서는 챗GPT에게 관점과 정체성을 심어주는 법을 배워요.


예시 대화 — 역할에 따라 달라지는 답변

아래는 똑같은 질문을 역할만 바꿔서 던졌을 때의 차이입니다.

직접 따라하며 톤 차이를 느껴보세요


예시 1 — CTO(기술책임자)

사용자: 당신은 스타트업 CTO입니다. 이 제안서를 평가해주세요.

챗GPT:

  • 기술 구현 가능성: 높음

  • 확장성 구조: 우수

  • 위험요인: 보안·유지보수 인력 부족

기술적 분석 중심으로 바라봅니다.


예시 2 — UX 디자이너

사용자: 당신은 UX 디자이너입니다. 이 화면의 개선점을 말해주세요.

챗GPT:

  • 버튼 크기가 작아 손가락 터치에 불편

  • 색상 대비가 낮아 시인성 부족

  • 사용자 여정에 따라 메뉴 재배치 필요

사용자 입장에서 피드백합니다.


예시 3 — 마케팅 전문가

사용자: 당신은 마케팅 전문가입니다. 1년 예산 계획을 세워주세요.

챗GPT:

  • 40% SNS 광고

  • 20% 검색광고

  • 15% 인플루언서

  • 10% 오프라인 행사

  • 15% 비상 예산

채널·비율 중심으로 계획을 제시하죠.


예시 4 — 논문 심사위원

사용자: 논문 심사위원으로서 이 초록을 비판해주세요.

챗GPT:

  • 연구 목적이 모호함

  • 표본 수가 통계적으로 부족

  • 참고문헌 최신성 낮음

논리성·신뢰성 중심 분석입니다.


예시 5 — 초등 교사

사용자: 초등 교사로서 7살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주세요.

챗GPT:

AI는 똑똑한 로봇 머리예요.

많은 걸 배우고 기억해요.

우리가 묻는 걸 잘 알려줘요.

쉽고 친근한 말투로 바뀌었죠.


예시 6 — 기자

사용자: 기자처럼 이 사건을 기사 형식으로 써주세요.

챗GPT:

서울=OO뉴스 — 오늘 오전 9시경 … (기사체 구성)

보도문 스타일로 씁니다.


예시 7 — 면접관

사용자: 면접관처럼 제 자기소개서를 평가해주세요.

챗GPT:

  • 강점: 기술력, 책임감

  • 약점: 협업경험 부족

  • 총평: 실무 역량 우수, 팀워크 강조 필요

평가표처럼 채점합니다.


예시 8 — 법률 자문가

사용자: 법률 자문가로 이 계약서의 위험요소를 검토해주세요.

챗GPT:

  • 위약금 조항 과다

  • 해지 절차 불명확

  • 저작권 귀속 문제

위험 중심으로 분석합니다.


예시 9 — 투자자

사용자: 투자자로서 이 스타트업을 평가해주세요.

챗GPT:

  • 매출 성장률: 높음

  • 경쟁사 대비 우위: 있음

  • 리스크: 인력 의존도 큼

수익성·지속가능성 중심 시각입니다.


예시 10 — 팀장

사용자: 팀장으로서 이 일정의 리스크를 말해주세요.

챗GPT:

  • 병목: 디자이너 인력 부족

  • 위험: 일정 겹침

  • 해결: 우선순위 재조정

일정·자원 관리 시각입니다.


직접 해보는 연습

  1. 같은 질문을 3가지 서로 다른 역할로 던지기

  2. 각 답변의 말투·관점 차이 비교하기

  3. 어떤 역할이 가장 실전적이었는지 체크하기

  4. 자신이 자주 쓸 나만의 역할(페르소나) 1~2개 만들어보기

예: ‘기획팀장’, ‘친구처럼 조언해주는 사람’, ‘노무사’ 등

이렇게 정해두면 매번 일일이 설명하지 않아도 돼요


나를 돌아보는 질문

  • 내가 원하는 답변에 어떤 관점이 필요했나요?

  • 역할을 바꾸니 어떤 점이 달라졌나요?

  • 앞으로 자주 쓸 역할은 어떤 것일까요?


체크리스트

  • 역할 지시문(“당신은 ~입니다”)을 넣었는가

  • 역할에 어울리는 관점/어투로 바뀌었는가

  • 여러 역할 중 적합한 걸 고를 수 있는가


함께 이야기해요

내가 만든 페르소나와 결과를 댓글에 남겨주세요

역할별로 어떤 차이가 있었는지 비교해보세요

미션 완료했다면 찍고 다음 단계로!


여기까지가 3단계 — 역할(페르소나) 입히기였습니다.

이제 챗GPT가 ‘누구처럼’ 대답할지를 정해주면서,

더 현실적이고 실전적인 답변을 받을 수 있어요

#챗GPT #GPT역할지정 #프롬프트 #페르소나 #챗GPT전문가 #전문가모드 #초보자챗GPT활용법

#시니어챗GPT강의 #persona #GPTpesona #exportmode #beginnerGPT #GPTusing #GPTaction #GPTpesona #GPTprompt

0 Comments
Category